2,500가지 체험학습을 한 곳에서 편리하게!
체험으로 가능성을 발견하는 국내 최초, 최고의 체험학습 플랫폼

  • 아자스쿨 인스타그램
  • 아자스쿨 카카오톡 채널
  • 1:1 문의
  • 입점문의
뒤로가기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던 독립운동가는?

img_67bb4b76dc83a.png
img_67bb4b76dc99c.png
img_67bb4b76dc89a.png
img_67bb4b76dca01.png
img_67bb4b76dc8dc.png
img_67bb4b76dc93d.png
img_67bb4b76dc79b.png
안녕하세요, 여러분 ! 아자스쿨입니다 !! 주말 잘 보내셨나요? ​ 오늘은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상징하는 역사적인 장소, 서대문형무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함께 서대문형무소의 의미를 공부하며, 이곳에 투옥되셨던 ​독립운동가분들은 누구인지도 함께 살펴보아요 :) ​ 서대문형무소는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의 대표적인 탄압기관으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곳으로 유명해요. ​ 1908년 경성감옥으로 시작되어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 1945년 서울형무소, 1961년 서울교도소, 1967년 서울구치소로 명칭이 변경되었어요. ​ 1919년 3·1 운동 이후, 대규모 체포와 투옥이 이루어지며 악명 높은 장소로 자리 잡았고, 1945년 광복 이후에도 감옥으로 사용되다가 1987년 감옥으로서의 기능이 종료되었어요. 후에, 1992년, 역사적 보존을 위해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으로 재탄생되었어요. ​ 그렇다면, 수많은 독립운동가들 중 이곳에 수감되셨던 분들은 누구일까요? 백범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 이에요. 1919년 3·1운동 이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고, 1931년에는 한인애국단을 조직해 일본 요인을 처단하고 주요 시설을 파괴하는 의열투쟁을 이끌었어요. ​ 특히 1931년에는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의거를 지휘하였고, 1944년에는 임시정부 주석에 재선임되었어요. 광복 이후에는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하다가 1949년 6월 26일 경교장에서 육군 소위 안두희에게 암살당했어요. ​ 일제 강점기 동안 김구는 여러 차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는데요, 가장 유명한 것은 1932년에 일어난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의거 이후 체포되어 약 1년간 수감되었던 것이에요. 이곳에서 김구는 심한 고문과 학대를 받았지만, 불굴의 의지로 항일 투쟁을 계속했어요. ​ 서대문형무소에서 보낸 시간은 김구의 삶과 투쟁에 깊은 영향을 미쳤어요. 이곳에서 겪은 고통과 시련은 그의 신념을 더욱 굳게 하고 독립에 대한 의지를 불태우는 큰 동기가 되었어요. 유관순은 ​1919년 3·1운동 당시 천안 아우내장터에서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는 등 만세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어요. ​ 1920년 3월 1일, 3·1운동 1주년 기념식을 갖고자 했으나, 감시가 심해 조용히 만세를 부르고 끝내려 했어요. 그러나 만세 소리가 곧 커졌고, 곧바로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되었어요. 이 과정에서 열사는 방광이 파열되고 한쪽 눈을 잃는 중상을 입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중에서도 대한독립만세를 계속 외쳤어요. ​ 끝내 1920년 9월 28일, 모진 고문과 영양실조로 18세의 나이에 순국하였어요. 이화학당의 스승이었던 박인덕 등 외국인 선교사들이 시신을 수습하여 장례를 치렀고,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어요. 열사가 생전에 수감되었던 서대문형무소는 현재 역사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그녀의 희생과 업적을 기리고 있어요. ​ 안중근은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뒤 현장에서 체포되었어요. 이후 뤼순감옥으로 이송되어 1910년 2월 14일 사형 선고를 받고, 같은 해 3월 26일 순국했어요. ​ 그는 옥중에서 자서전인 동양평화론​을 했어요. 동양평화론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한·중·일 삼국이 협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 마지막 유언으로는 \\\\\\\\\\\\\\\\\\\\\\\\\\\\\\\\\\\\\\\\\\\\\\\\\\\\\\\\\\\\\\\\\\\\\\\\\\\\\\\\\\\\\\\\\\\\\\\\\\\\\\\\\\\\\\\\\\\\\\\\\\\\\\\"내가 죽은 뒤에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두었다가 나라를 되찾거든 고국으로 옮겨다오. 나는 천국에 가서도 마땅히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힘쓸 것이다. 너희들은 돌아가서 국민 된 의무를 다하며, 마음을 같이하고 힘을 합하여 큰 뜻을 이루도록 일러다오.\\\\\\\\\\\\\\\\\\\\\\\\\\\\\\\\\\\\\\\\\\\\\\\\\\\\\\\\\\\\\\\\\\\\\\\\\\\\\\\\\\\\\\\\\\\\\\\\\\\\\\\\\\\\\\\\\\\\\\\\\\\\\\\"라는 말을 남겼어요. ​ 서대문 형무소 여옥사 8호실에는 안의사가 수감되었을 당시의 모습을 재현한 전시물이 마련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그의 희생과 업적을 전하고 있어요. ​ ​ 안창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에요. 안창호는 대성학교, 점진학교, 동명학원 등을 설립하며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과 실력 양성을 독립운동의 기반​으로 삼았어요. 또한, 흥사단, 대한인국민회 등 단체를 조직하며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이끌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활동했어요. ​ 하지만 독립운동을 이끌던 중,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수감되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옥에서도 가혹한 고문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독립운동에 대한 신념을 굽히지 않았으며, 건강이 악화된 상태로 옥중 생활을 이어갔어요. 이후 건강이 크게 악화된 그는 1938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석방되었으나, 투옥 중 입은 병세로 인해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어요. 일제강점기 동안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고문과 탄압 속에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어요. 유관순 열사를 비롯해 강우규, 김동삼, 김좌진 등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이곳에서 순국하거나 고초를 겪으며 독립운동을 이어갔어요. ​ 서대문형무소는 단순한 감옥이 아니라,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희생과 저항의 역사를 써 내려간 의미 깊은 장소​에요. 일제의 가혹한 탄압 속에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끝까지 싸우신 독립운동가분들의 희생은 오늘날 우리 가슴에 깊이 새겨져 있으며, 앞으로도 잊지 말아야 할 소중한 역사입니다. 서대문형무소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고,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기억하고 싶으신가요? ​ 지금 아자스쿨에서 서대문형무소 체험학습을 특별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어요! 이번 이벤트를 통해 서대문형무소의 역사와 의미를 직접 체험해보세요! ​ 얼리버드 기간: 2024.11.8 ~ 2024.12.16